안녕하세요 기업교육에서 강연을 간단히 진행하는 호오컨설팅입니다.이번에는 기업교육 전문가이자 뇌과학자인 장동성 박사의 뇌와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로 다수의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여 뇌과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장동성 박사의 ‘뇌과학자가 분석한 ChatGPT의 모든 것’ ChatGpt 강연(특강) 영상을 마련하였습니다.장·동성 박사:Chat Gpt 1분 버전으로 정리하면 대화하는 생성형 미리 공부한 토레스포마ー알고리즘.Chat Gpt는 인물 정보, 숫자 계산 등 정확한 답이 안 나올 때가 의외로 많습니다.언어 모델로 설계되므로 계산 능력은 다소 부족하다고 합니다.조·승연 작가:지금은 이것이 너무 틀립니다만, Chat Gpt 같은 AI가 99.99%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 세상에 오면 개인의 주장보다 인공 지능의 정보를 신뢰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 같아요.장·동성 박사:그러니까 뭔가를 찾을 때, 인공 지능이 더 정확하다고 믿는 사람이 많이 생길지도 모르지만 결국”우리는 무엇을 믿을 것인가?”라는 철학적 문제로 이어질 것 같아요.조·승연 박사:나도 Chat Gpt가 나오면 들리고, 원고를 만들어 가며 보라고 했는데 두 사람 가운데 한명이었어요.너무나도 있을 수 없는 이야기를 하거나 아니면 너무 뻔한 이야기만 하고, 솔직히 쓸 하나도 없었습니다. Chat Gpt이 세상을 바꾸다니 인간의 일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뀐다는 이런 기사가 솔직히 마음에 없습니다.장·동성 박사:처음엔 사람들이 대화를 하면서 재미 있다고 해서, 대화 파트너로 출발하는데 이를 더하면 매우 도움이 되도록 자신의 시간을 아껴서 줍니다. 한마디로 정의하면 수천 만개, 수억개의 정보를 읽고 저에게 돌려주는 일종의 “메타 인터넷의 시작이다”이라 할 수 있습니다.조·승연 작가:컴퓨터의 유용성은 남이 싫어하는 것 대신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그런데 사람의 좋아하는 것 대신 기계를 만드는 것은 왜요?장·동성 박사:스토리텔링을 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이 무엇인가를 보면 내 머리 속에 있는 지식과 정보는 방대하지만 재미 있는 이야기를 하는 순간 이는 압축되고 압축된 코드로 내게 오면 이것이 열었다가 제 뇌가 말하는 사람의 뇌 상태가 되며 이 머리 안에 있던 상상과 그림을 떠올리는 것이 스토리텔링이죠.스토리텔링이라는 것은 뇌와 뇌를 잇는 매우 효과적 도구로 되었습니다. Chat Gpt과 AI는 뇌 과학자의 입장에서 거울을 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결국 내가 좋아하는 것 같아 내가 알고 기대하는 중에 있는 답을 재미 있는 거울처럼 보이고 줄 거 아닐까 싶어요.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를 돕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몇 억권의 책을 볼 수 없으니 그들을 일발로 요약해서 나에게 한 말을 전하고 달라는 것에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비교해서 효율성을 보면, 우리는 어떤 이야기 하나만 들어도 열이 나타납니다.모든 인공 지능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공부해야 인간을 조금 흉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효율성에서 보면 너무 빠질 거예요. 실제로 서버에 수십억원이 들어 매우 많은 전기를 소비하고 그 데이터를 모두 공부하고, 그 다음에 인간이 모방하는 언어가 나옵니다. 인간은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습니다.조·승연 작가:Chat Gpt를 이용해서 작성한 과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장·동성 박사:사실 교육계에서 매우 걱정하고 있습니다. 에세이를 쓰고 평가해야 하는데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적는 것이 아니라, Chat Gpt을 받아 쓰면 되기 때문입니다. 나는 반대로 생각합니다. 오히려 학생들에게 “Chat Gpt를 적극 활용하지만 개인의 견해와 의견을 잘 담는다”와 이야기하고 싶습니다.실제로 옛*엔진이 처음 나왔을 때도 비슷한 논쟁이 있었습니다. 니콜라스·차는 미국의 심리학자는 “전부 바보이다. 뇌가 퇴화하다”라는 이론까지 내고 있었습니다.중요한 것은 어떻게 쓰느냐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질문이 생겨야 하고, 자신만의 관점이 있어야 좋은 질문에, 유저가 아는 것이 없으면 Chat Gpt는 유용한 정보를 끌어낼 수 없습니다. 조·승연 작가:그게 생각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제가 아무것도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 책을 통해서 지식을 얻는 것이 더 간단한 것인지, 옛*와 유튜브에서 지식을 얻는 것이 더 쉬운지를 비교했어요. 저의 결론은 제가 아무것도 모르면 필독서를 읽는 것이 훨씬 쉽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필독서는 앞에서 뒤에 읽어야 하고 자신이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무엇이 궁금한지를 스스로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인공 지능 시대의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요?장·동성 박사:가정이 잘못된 질문에는 옳은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가정이 잘못된 질문은 항상 틀린 답을 이끌어 내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정 이외의 질문을 하는 게 좋은 질문입니다. 뇌 과학에서 받는 나쁜 질문 속에 “박사의 뇌의 10%가 아니라 더 많은 것을 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이 온 것입니다. 그럼 여기서 실제로 가정은 이미 틀렸습니다. 우리는 뇌의 10%밖에 쓰지 않아요. 그런데 이를 100% 믿고 있으면서” 어떻게 하면 10%보다 많이 쓰나요?”라는 질문을 해서 대답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좋은 질문이라는 것은 “우리는 뇌의 모든 것을 쓰고 있다”혹은”인간의 뇌의 잠재력은 어디까지요?”라는 것입니다.조·승연 작가:Chat Gpt를 가동하려면 어느 정도 필요합니까?장·동성 박사:인공 지능 전문가와 업계에서는 Chat Gpt를 LLM이라고 부릅니다.모든 종류의 세계의 모든 텍스와 언어를 넣어 학습하면서 인공 지능 채팅 봇 서버와 데이터 센터는 유지와 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듭니다.아마 국내에서는 이 Chat Gpt정도의 언어 모델을 돌릴 수 있는 슈퍼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분이 5곳도 안 된다고 합니다. 조·승연 작가:그럼 미래의 인류는 거대한 데이터 인프라의 노예가 될까요?장·동성 박사:누가 이 데이터를 컨트롤하고 어느 플랫폼의 유저를 획득하느냐는 것이 큰 화두입니다. 지금 우리가 메타 버스나 AI의 이야기를 많이 하지만 실은 이 아이디어가 70~80년대부터 SF소설에 많이 등장했던 테마입니다. 사이버 펑크는 과학 기술과 사회적 폐해, 부조리 등을 다루는 1980년대에 등장한 과학 소설의 일종입니다.기술이 고도화된 것에 중앙 집권 체제가 모두 이 자료를 갖고 있어서 완벽한 중앙 집권형 데이터 사회에 되는 블록이 하나이며 두번째 블록은 국가 은행 등이 우리의 거래를 인증해야 하는지, 우리 개인끼리 서로 거래하면 된다는 일종의 디지털 서부 개척사회처럼 가는 블록입니다. 탈 중앙화되게 분산되어 블록 체인점에 가, 암호화의 철학과 비슷합니다.3번째 블록은 아직 기술이 부족해서 넣지 않거나 현대 문명의 기술을 거부하고 기존의 생활을 고수하는 블록입니다.조승연 작가: 이 세 가지 미래 세계 중 살고 싶은 세계는 어디입니까?장동성 박사: 저는 탈중앙화된 구역입니다. 개척 시대의 진정한 승자는 도시를 건설한 사람들입니다.조승연 작가: 저는 그래도 기술 발전을 포기한 구역입니다.장동성 박사:과연 그 세계는 새가 지저귀고 행복할까요^^?장·동성 박사:이 이야기를 하면서 떠오른 것이 토머스·무어의 “유토피아”입니다. 유토피아는 누군가의 밥값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예 제도 같은 노동자가 필요합니다.책에는 노예 제도로 나옵니다만, 왜 우리가 Chat Gpt, 인공 지능, 로봇을 이렇게 만드는가, 기계와 로봇이나 알고리즘이 인간 대신 일을 시키어 주는 기계 노예 제도가 있어야 자유 시간도 있다 행복한 기본 조건이 마련되지 않을까 생각하니, 이 기술을 고도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조·승연 작가:인공 지능이 다가오는 시대에 인류가 사는 방법은 무엇입니까?장·동성 박사:결과적으로 이런 기술이 고도화하는 세상에서 더 중요하게 되는 것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새로 나온 기술이 무엇인지 모르는데 제가 다 공부하기에도 부족합니다. 인공 지능을 말하는 것은 모두 믿지도 못하고, 그러면 믿는 전문가나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는 사람이 있으면, 서로에게 지식을 공유하는 거죠. 그것이 더 중요하게 되었고 소중하게 되는 것은 제가 함께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동료, 친구의 가치가 점점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조승연 작가: 도구가 몇 개 있을수록 사람은 더 다양하게 세상을 살 수 있는 것 같아요. 적절하게 어떻게 믹스를 할지 생각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장동성 박사: 사실 앞으로 굉장히 중요한 건 다 똑같이 따라갈 사람이 아니라 자기만의 생각을 분명히 갖고 있는 사람들이 더 필요할 것 같아요.그동안 기업교육 및 관공서, 대학에서 다양한 분야의 교육전문가로서 많은 과학, 뇌과학, 행복, 삶의 지혜강의를 진행하는 장동성 박사의 강연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그동안 기업교육 및 관공서, 대학에서 다양한 분야의 교육전문가로서 많은 과학, 뇌과학, 행복, 삶의 지혜강의를 진행하는 장동성 박사의 강연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그동안 기업교육 및 관공서, 대학에서 다양한 분야의 교육전문가로서 많은 과학, 뇌과학, 행복, 삶의 지혜강의를 진행하는 장동성 박사의 강연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